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기상 위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기상 위성은 기상 관측을 목적으로 하는 인공위성으로, 정지 궤도와 극궤도를 활용하여 지구의 기상 현상을 감시한다. 1957년 스푸트니크 1호가 기상 위성의 모태가 되었으며, 1960년 타이로스 1호가 최초의 성공적인 기상 위성으로 평가받는다. 현재는 이미저, 사운더, 우주 환경 감시 시스템 등의 장비를 탑재하여 가시광선, 적외선 등을 통해 구름, 온도, 해양 정보 등을 관측하고, 일기 예보, 재난 감시, 환경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미국, 유럽, 일본, 중국, 한국 등 여러 국가에서 기상 위성을 운영하며, 세계기상기구(WMO)를 중심으로 국제 협력도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상 위성 - GOES
    미국 해양대기청에서 운용하는 정지 궤도 기상 위성 시스템인 GOES는 미국 본토 및 주변 해역의 기상 관측과 우주 환경 감시를 주요 임무로 하며, 여러 세대를 거쳐 개발되어 최신 GOES-R 시리즈는 향상된 성능을 제공한다.
  • 기상 위성 - 히마와리 (기상위성)
    일본의 정지 궤도 기상 위성 시리즈인 히마와리는 1977년 1호 발사 이후 현재 8호와 9호가 운용 중이며 2028년 발사 예정인 10호가 개발 중으로, 초기 미국 기술 기반에서 점차 국산화되어 기상 관측과 재해 감시에 기여하고 있다.
  • 날씨 - 번개
    번개는 뇌운 속 전하 분리에 의해 발생하는 대기 방전 현상으로, 빛과 천둥을 동반하며 지구 외 행성이나 화산 폭발과 같은 현상에서도 발생하고 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날씨 - 오호츠크해 기단
    오호츠크해 기단은 세력이 강해지거나 위치가 변동될 때 야마세라는 북동풍을 발생시켜 일본 태평양 연안 지역에 저온 현상과 냉해를 유발하고 벼농사에 큰 영향을 미친다.
기상 위성
기본 정보
기상 위성 히마와리 8호가 촬영한 지구
기상 위성 히마와리 8호가 촬영한 지구
유형정지 궤도 및 극궤도
운영 주체기상청 (대한민국)
일본 기상청
유럽 기상 위성 개발 기구
미국 해양대기청
인도 기상청
중국 기상국
러시아 연방 수문기상환경 감시국
목적
목적기상 예보
기후 연구
역사
최초 발사1960년 4월 1일, TIROS-1
궤도 특성
궤도 유형정지 궤도
극궤도
고도정지 궤도: 약 35,786 km
극궤도: 약 850 km
주기정지 궤도: 지구 자전과 동일
극궤도: 약 100분
장비
주요 장비가시광선적외선 스캐너
라디오미터
고도계
전파 엄폐 센서
활용
활용 분야기상 예보
기후 연구
해양학
농업
재해 감시
대한민국 기상 위성
통신해양기상위성 1호천리안위성 1호
차세대정지궤도복합위성 2A호천리안위성 2A호
차세대정지궤도복합위성 2B호천리안위성 2B호

2. 역사

최초의 기상 위성 타이로스 1호


right

1969년 6월 26일 ESSA-9 기상위성이 촬영한 미합중국 사진 모자이크


티로스 위성 (1961년)


전후 독일의 로켓 기술이 도입된 미국에서 1946년 10월 카메라를 장착한 로켓을 이용해 상공에서 구름의 모습을 촬영했다. 1954년 10월 발사된 로켓은 약 160km 고도에 도달했고, 탑재된 영사 카메라는 거대한 구름 소용돌이를 이루는 열대 저기압의 전모를 처음으로 포착했다.

기상위성에 의한 우주에서의 기상 감시는 지상의 기상 관측과 함께 전 지구 규모의 기상 파악을 가능하게 했고, 수치 예보와 함께 인간의 주관에 의존하지 않는 기상 예보의 길을 열었다.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각국에서 관측 결과를 공유하는 체계가 필요했고, 1961년 유엔 총회 케네디 대통령의 연설을 계기로 세계기상기구(WMO)에서 세계기상감시(World Weather Watch) 프로그램이 수립되었다.[23]

대한민국은 위성 자료를 예보 분석 업무에 활용하고 있으며, 기상정보통신망을 통해 지방 관서에 분배되어 전국적으로 이용되고 방송국, 신문사 등에도 제공된다. 2010년 6월 26일에는 정지 궤도 위성 천리안 위성을 쏘아 올렸다.

2. 1. 초기 역사

1957년 10월 4일 소련이 발사한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가 기상위성의 모태이다. 1959년 2월 17일 미 해군이 발사한 뱅가드 2호는 구름 분포와 대기 밀도를 관측했으나, 회전축이 불안정하고 타원 궤도를 돌아 유용한 데이터를 많이 수집하지는 못했다.[4] 같은 해 10월에 발사된 익스플로러 7호는 방사계를 탑재하고 처음으로 지구의 열 수지 측정에 성공했다.[21]

1960년 4월 1일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이 발사한 타이로스 1호는 최초의 성공적인 기상위성으로 78일 간 운영되었다.[5] 가시광선 카메라를 탑재하여 낮에만 관측이 가능했고, 짧은 수명이었지만 촬영 사진을 지상으로 전송했다. 자세 제어 문제로 야간 촬영은 불가능했지만, 여러 유익한 관측 데이터를 제공했다. 타이로스 3호는 처음으로 허리케인을 촬영했고, 타이로스 5호부터는 대체로 허리케인 시즌에 운용되었다.

1964년 8월 님버스 1호가 극궤도에 발사되어 양극 지역도 촬영이 가능해졌고, 적외 방사계로 야간의 구름 분포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1966년 2월, 최초의 현업용 기상위성 에싸 1호가 발사되어 매일 전 지구의 구름 분석이 시작되었다.[22] 1964년에는 소련도 메테오르 시리즈 위성 발사를 시작했다.

최초의 정지기상위성 SMS 1호는 1974년에 처음 발사되었고, 구름 영상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바람을 추적할 수 있게 되었다. 정지기상위성은 1975년부터 GOES 시리즈로 정기적으로 발사되어 지속적인 운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1977년에 정지기상위성 히마와리를 발사했고, 유럽 등도 정지기상위성을 각각 자국 상공에 발사하여 주요 국가들이 분담하여 거의 전 지구의 기상을 수시로 우주에서 감시할 수 있게 되었다.[21]

2. 2. 발전 과정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이 발사한 최초의 기상위성인 티로스 1호(TIROS-1)는 78일 간 운영되었다. 1965년 2월까지 총 10개의 타이로스 위성이 발사되었고, 이후 ESSA(Environmental Science Services Administration)위성, NOAA(National Oceanic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위성 등으로 이어졌다. 1975년 10월에는 최초의 정지궤도 기상위성 GOES(Geostationary Operational Environmental Satellite)가 발사되었다.

1960년 4월 1일 NASA가 발사한 티로스 1호(TIROS-1)는 최초로 성공적인 기상위성으로 여겨진다.[5] 뱅가드 2호보다 훨씬 성공적이었으며, 78일 동안 작동했다. 초기 기상위성 프로그램에는 1962년의 방위위성 응용 프로그램(DSAP)[6]과 1964년의 소련 메테오르 시리즈가 있다.

티로스(TIROS)는 님버스 계획(Nimbus program)의 기반이 되었으며, 1969년 님버스 3호(Nimbus 3) 위성부터 대류권 기둥의 온도 정보를 얻어 일기예보의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켰다.[7]

ESSA와 NOAA 극궤도 위성은 1960년대 후반부터, 정지궤도 위성은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 ATS와 SMS 시리즈부터 시작하여 1970년대부터 GOES 시리즈가 이어졌다. 퀵스캐트(QuikScat) 및 TRMM과 같은 극궤도 위성은 1970년대 후반부터 해양 표면 근처의 바람 정보를 전달하기 시작했다.

유럽에서는 1977년 최초의 정지궤도 기상 관측 위성인 메테오샛-1호(Meteosat-1)가 발사되었다. 이후 메테오샛 1세대 위성들이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에서 발사되었으며, 유럽우주국(European Space Agency)과 유럽기상위성운영기구(European Organisation for the Exploitation of Meteorological Satellites, EUMETSAT)에서 운영되었다.

일본은 1977년부터 히마와리(Himawari) 위성 9기를, 중국은 1988년부터 21기의 펑윈(風雲) 위성을 발사했다.

2000년대에는 유럽우주국(ESA)이 (Meteosat Second Generation, MSG) 위성들을 개발했다. 2002년 발사된 (Meteosat-8)은 (Spinning Enhanced Visible and Infrared Imager, SEVIRI) 등을 탑재했다. 2006년에는 유럽 최초의 저궤도 운영 기상 위성인 (Metop-A)가 발사되었다. (EUMETSAT) 극궤도 시스템(EPS)의 우주 부문을 구성하는 이 위성은 ESA의 (European Remote-Sensing Satellite, ERS)과 (Envisat) 실험 임무를 기반으로 했다.

2015년에는 미국 해양대기청(NOAA) 소유의 심우주기상관측위성(DSCOVR)이 발사되어, 우주 기상을 관측하고 예측할 수 있는 최초의 심우주 위성이 되었다. 이를 통해 2010년대 후반부터 정확하고 선제적인 우주 기상 예보가 가능해졌다.[8]

2022년, MTG 위성 시스템(Meteosat Third Generation) 프로그램의 첫 번째 위성인 Meteosat-12가 발사되었다. MTG 위성은 3축 안정화 방식을 사용하며, 다기능 결합 영상장비(Flexible Combined Imager, FCI)와 낙뢰 영상장비(Lightning Imager, LI) 등을 탑재한다.

1959년 발사된 미국의 뱅가드 2호는 지구 구름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자세 제어에 문제가 있었다. 같은 해 10월 발사된 익스플로러 7호는 방사계를 탑재하고 처음으로 지구의 열 수지 측정에 성공했다.[21]

최초의 기상위성은 1960년 4월 1일에 발사된 티로스 1호이다. 가시광선 카메라를 탑재하여 낮에만 관측이 가능했고 수명은 78일로 짧았지만, 유익한 관측 데이터를 제공했다. 티로스 3호는 처음으로 허리케인을 촬영했고, 1964년 8월 님버스 1호(Nimbus I)는 극궤도에 발사되어 적외 방사계로 야간 구름 분포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1966년 2월, 최초의 현업용 기상위성 에싸 1호(Environmental Survey Satellite I)가 발사되어 매일 전 지구의 구름 분석이 시작되었다.[22]

최초의 정지기상위성 SMS 1호(Synchronous Meteorological Satellite-1)는 1974년에 처음 발사되었고, 1975년부터 GOES(Geostationary Operational Environmental Satellite) 시리즈로 정기적으로 발사되어 지속적인 운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1977년 일본도 정지기상위성 「히마와리」를 발사했다.[21]

2. 3.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위성 자료를 예보 분석 업무에 활용하고 있으며, 기상정보통신망을 통해 지방 관서에 분배되어 전국적으로 이용되고 방송국, 신문사 등에도 제공된다.

2010년 6월 26일에는 정지 궤도 위성 천리안 위성을 쏘아 올렸다.

3. 기상 위성의 종류

기상위성은 정지궤도와 극궤도의 두 가지 궤도를 사용한다. 관측 장비로는 구름을 관측하는 가시광선 및 야간 관측용 적외선 카메라, 적외선 흡수를 이용하여 수증기를 관측하는 카메라, 해상풍과 강우량을 측정하기 위한 마이크로파 산란계 등이 있다. 위성 궤도 분류에 따라 '''정지궤도위성''', '''태양동기궤도 위성''' 등으로 나뉜다.

광역 관측과 해상 감시가 용이하여 일반적인 기상 및 태풍 관측에 유력한 수단이다.

3. 1. 정지궤도 기상위성

정지궤도 위성은 적도 상공 약 35,880km 고도에서 지구 자전과 같은 방향으로 공전하기 때문에, 지상에서는 위성이 적도 상공에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정지기상위성은 항상 같은 반구를 대상으로, 가시광선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기상 관측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정지기상위성을 이용한 지구 전체의 기상 관측은 WMO의 세계대기연구계획(GARP: Global Atmospheric Research Program)에 기반한 5개의 정지궤도 위성과 기타 독자적으로 발사된 정지위성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궤도 때문에 지구 자전에 대해 정지 상태를 유지하므로 가시광선 및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여 아래쪽 반구 전체의 영상을 지속적으로 기록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뉴스 매체는 정지궤도 위성 사진을 단일 이미지 또는 영화 루프로 만들어 일일 날씨 예보에 사용한다.

2021년 7월 현재, 여러 대의 정지기상위성이 운용 중이며, 국가는 다음과 같다.

  • 미국의 GOES 시리즈는 GOES-15, GOES-16, GOES-17 세 대가 운영 중이다. GOES-16과 GOES-17은 각각 대서양과 태평양 상공에 정지해 있다.[14] GOES-15는 2019년 7월 초에 퇴역했다.[15] 이전에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소유했던 GOES 13 위성은 2019년 미국 우주군(United States Space Force)으로 이관되어 EWS-G1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미국 국방부가 소유 및 운영하는 최초의 정지궤도 기상위성이 되었다.[16]
  • 러시아는 2015년 12월에 발사한 기상위성 Electro-L N2를 서경 14.5도의 대서양 상에서, 2019년 12월에 발사한 Electro-L N3을 동경 76도의 인도양 상에서 운용하고 있다.
  • 일본은 동경 140.7도 상공의 Himawari-8(히마와리 8호)와 Himawari-9(히마와리 9호) 2기를 중부 태평양 상에서 운용하고 있다.[26]
  • 유럽은 대서양 상에서 Meteosat-9를 동경 3.5도, Meteosat-10을 동경 9.5도, Meteosat-11을 본초자오선 상에, Meteosat-8 (IODC)을 동경 41.5도의 인도양 상에서 운용한다.
  • 중국은 정지위성 형태의 풍운을 동경 86.5도에 위치한 FY-2E, 동경 112도에 위치한 FY-2F, 동경 105도에 위치한 FY-2G, 동경 79도에 위치한 FY-2H, 동경 104.7도에 위치한 FY-4A를 각각 운용하고 있다.
  • 인도는 기상 관측 목적의 장비를 탑재한 정지위성 인샛-3D/3DR을 운용하고 있다.


정지궤도 히마와리 8호(Himawari 8) 위성의 첫 번째 천연색 합성 PNG 이미지


정지궤도 GOES-17 위성의 레벨 1B 보정 방사량 - 천연색 합성 PNG 이미지

3. 2. 극궤도 기상위성

저궤도](LEO) 기상위성으로부터 137MHz의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턴스타일 안테나
극궤도 기상위성은 고도 800~1500km 상공에서 남북극을 주기적으로 통과하는 위성이다. 극궤도 위성은 남-북 방향으로 공전하고 지구는 서→동 방향으로 자전하기 때문에 지구 표면 전체를 관측할 수 있다.

최초로 성공적인 기상위성으로 여겨지는 위성은 1960년 4월 1일에 NASA가 발사한 티로스 1호(TIROS-1)이다.[5] 티로스는 78일 동안 작동했으며, 뱅가드 2호보다 훨씬 성공적이었다. 초기 기상위성 프로그램에는 1962년의 방위위성 응용 프로그램(DSAP)[6]과 1964년의 소련 메테오르 시리즈가 있다.

티로스(TIROS)는 님버스 계획(Nimbus program)의 길을 열었으며, 이 계획의 기술과 연구 결과는 그 이후 NASA와 NOAA가 발사한 대부분의 지구 관측 위성의 기반이 되었다. 1969년 님버스 3호(Nimbus 3) 위성부터 시작하여, 대서양 동부와 태평양 대부분 지역에서 위성을 통해 대류권 기둥의 온도 정보를 얻기 시작했으며, 이는 일기예보의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켰다.[7]

극궤도 위성은 태양동기궤도에 진입함으로써 관측 대상 지역의 태양시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어, 위성에서 본 임의의 지점에 대한 지표면의 빛과 그림자의 위치 관계가 매번 같게 된다. 이러한 특성상 지구상의 모든 곳을 관측 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하루에 두 번 동일 지점을 관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적도 상공에서 관측하는 정지궤도 위성으로는 관측이 어려운 양극 부근의 관측에 적합하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극궤도 기상위성은 일반적으로 지상 850km 상공을 북극과 남극을 통과하도록 남북 방향으로 주회 비행한다.

미국은 극궤도 기상위성 NOAA 시리즈를 보유하고 있으며, 유럽은 MetOp-A 위성, 러시아는 METEOR-M, 중국은 FY-1D(풍운 1호 D)와 FY-3A(풍운 3호 A)를 각각 운용하고 있으며, 인도도 극궤도 위성 IRS를 보유하고 있다.

3. 3. 지구 관측 위성

680~800km의 낮은 고도에서 극궤도로 공전하면서 물과 에너지의 순환, 대양의 변화, 대기의 화학반응, 지표면과 극지방의 얼음 등을 관측하는 다목적 위성이다. 재해·재난 관측, 지도 제작, 자원 탐사 등에도 활용된다.

저궤도(LEO)를 도는 위성 등이 있으며, 단시간에 변화하는 현상 관측에 유효하다.

  • TRMM(열대강우관측위성)

4. 관측 방법 및 탑재 장비

기상위성 서비스는 구름과 구름계만 보는 것이 아니다.


기상위성은 가시광선적외선 영역을 포함한 전자기 스펙트럼의 여러 '채널'을 통해 관측한다.[9][10]

일반적인 관측 채널은 다음과 같다:

  •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0.6–1.6 μm (낮 동안 구름의 양 기록)
  • 적외선: 3.9–7.3 μm (수증기), 8.7–13.4 μm (열화상)


일본, 미국, 유럽기상위성개발기구 등에서 관측 일정을 공개하고 있으며, 전 지구 관측의 주요 일정은 다음과 같다.

국가관측 주기
일본 (MTSAT), 중화인민공화국 (FY-2), 유럽 (METEOSAT-8/9), 인도 (kalpana)매시간
미국 (GOES), 대한민국 (COMS)3시간마다
유럽 (METEOSAT-5/7 인도양 상공)6시간마다


4. 1. 관측 방법

기상위성에 탑재되는 관측 장비는 각 운용국마다 다르지만, 주로 다음과 같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이미저 관측: 광학계를 주로 한 관측 장비로, 지구의 영상을 관측한다. 일기예보 등에서 보는 위성에서 온 기상위성 영상은 이 광학계 관측에 의한 것이다. 가시광선적외선을 사용한다. 적외선은 야간 관측 외에도, 구름의 온도를 나타내므로 구름 높이 측정에도 사용된다.
  • 사운더 관측: 특정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포착하여 연직 구조 또는 정밀한 오존 등의 가스를 관측한다. 정지기상위성 계열에서는 미국의 GOES에 탑재되어 있다. 극궤도 위성의 대부분은 특정 파장대의 전파를 발사하고,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분석하여 수증기, 바람, 오존 등의 분포를 관측한다.
  • 우주 환경 감시 시스템: GOES에는 SEM, SXI 이미저가 탑재되어 있다. 정지궤도상에서 태양으로부터 도달하는 X선이나 고/저에너지 대전입자, 자력, 양성자, 태양을 직접 촬영하여 지구상의 전리층교란이나 위성 운용 경보, 우주선 외 활동 등에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거 GMS-4까지는 우주 환경 모니터를 관측했지만, 현재의 GMS-5, MTSAT에는 장착되어 있지 않다.[8]


관측은 일반적으로 전자기 스펙트럼의 여러 '채널', 특히 가시광선적외선 영역을 통해 이루어진다.[9][10]

일반인도 기상위성의 가시광선 영상을 통해 낮 시간대의 구름, 전선이나 열대성 폭풍과 같은 구름계, 호수, 숲, 산, 눈, 얼음, 산불, 그리고 연기, 스모그, 먼지, 안개와 같은 오염 물질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심지어 연속 사진에서 구름의 패턴, 배열, 이동을 통해 바람도 알 수 있다.[11]

열 또는 적외선 영상은 스캐닝 방사계라 불리는 센서에 의해 기록되며, 숙련된 분석가는 이를 통해 구름의 고도와 종류를 판별하고, 지표면과 수면 온도를 계산하며, 해양 표면의 특징을 찾아낼 수 있다. 적외선 위성 영상은 눈에 보이는 눈(eye) 패턴을 가진 열대 저기압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드보락 기법을 사용하여 따뜻한 눈의 온도와 주변 차가운 구름 꼭대기의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구름 꼭대기가 더 차가울수록 더 강한 폭풍을 나타낸다).[12]

4. 2. 관측 채널 (파장)



기상위성은 일반적으로 전자기 스펙트럼의 여러 '채널', 특히 가시광선적외선 영역을 통해 관측한다.[9][10]

기상위성의 관측 채널은 다음과 같다.

  •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0.6–1.6 μm (낮 동안 구름의 양 기록)
  • 적외선: 3.9–7.3 μm (수증기), 8.7–13.4 μm (열화상)


관측 장비로는 구름을 관측하는 가시광선 및 야간 관측용 적외선 카메라, 적외선 흡수를 이용하여 수증기를 관측하는 카메라, 해상풍과 강우량을 측정하기 위한 마이크로파 산란계 등이 있다.

4. 3. 활용



미국 중부 지역 상공의 폭풍을 촬영한 GOES-17 위성의 적외선 영상


기상위성의 가시광선 영상을 통해 일반인도 낮 시간대의 구름, 전선이나 열대성 폭풍과 같은 구름계, 호수, 숲, 산, 눈, 얼음, 산불, 그리고 연기, 스모그, 먼지, 안개와 같은 오염 물질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심지어 연속 사진에서 구름의 패턴, 배열, 이동을 통해 바람도 알 수 있다.[11]

스캐닝 방사계라는 센서로 기록되는 열 또는 적외선 영상으로 숙련된 분석가는 구름의 고도와 종류를 판별하고, 지표면과 수면 온도를 계산하며, 해양 표면의 특징을 찾아낼 수 있다. 적외선 위성 영상은 눈에 보이는 눈(eye) 패턴을 가진 열대 저기압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드보락 기법을 사용하여 따뜻한 눈의 온도와 주변 차가운 구름 꼭대기의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구름 꼭대기가 더 차가울수록 더 강한 폭풍을 나타낸다).[12] 적외선 사진은 해양 소용돌이 또는 와류를 묘사하고, 해운업에 귀중한 걸프 스트림과 같은 해류를 지도로 나타낸다. 어부와 농부는 작물을 서리로부터 보호하거나 바다에서 어획량을 늘리기 위해 지표면과 수면 온도를 아는 데 관심이 있다. 엘니뇨 현상도 발견할 수 있다. 컬러 디지털화 기술을 사용하면 회색 음영의 열 영상을 색상으로 변환하여 원하는 정보를 더 쉽게 식별할 수 있다.

특히 미국 시에라네바다 산맥의 눈밭 관측은 미국 서부의 유역에 중요한 눈더미의 유출량을 추적하는 수문학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해빙, 해빙 덩어리, 빙산 또한 기상 위성을 통해 위치를 파악하고 추적할 수 있다.

자연 발생적이든 인간이 만든 것이든 오염 또한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다. 시각 및 적외선 사진은 각 지역의 오염 영향을 지구 전체에 걸쳐 보여준다. 항공기 및 로켓 오염, 그리고 응축흔 또한 발견할 수 있다. 우주 사진에서 얻은 해류 및 저층풍 정보는 해양 기름 유출의 범위와 이동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 거의 매년 여름,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의 모래와 먼지가 대서양의 적도 지역을 가로질러 이동한다. GOES-EAST 사진을 통해 기상학자는 이 모래 구름을 관찰하고 추적하며 예측할 수 있다. 시정을 감소시키고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것 외에도, 모래 구름은 열대 지방의 태양 복사 균형을 수정하여 허리케인 형성을 억제한다. 아시아와 중국 본토의 다른 황사는 일반적이며 쉽게 발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태평양을 건너 북미에 도달하는 먼지의 사례가 있다.

관측자가 거의 없는 세계의 외딴 지역에서는 화재가 수일 또는 수주일 동안 통제 불능 상태로 확대되어 당국에 알리기 전에 막대한 지역을 소모할 수 있다. 기상 위성은 이러한 상황에서 귀중한 자산이 될 수 있다. 야간 사진은 가스 및 석유 시추장의 소각도 보여준다.

기상위성은 광역 관측이 가능하고 해상 감시도 비교적 용이하여 일반적인 기상 및 태풍 관측에 유력한 수단이다. 각 운용국마다 기상위성에 탑재되는 관측 장비는 다르지만, 주로 다음과 같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종류설명
이미저 관측광학계를 주로 한 관측 장비로, 지구의 영상을 관측한다. 일기예보 등에서 보는 위성에서 온 기상위성 영상은 이 광학계 관측에 의한 것이다.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사용한다. 적외선은 야간 관측 외에도, 구름의 온도를 나타내므로 구름 높이 측정에도 사용된다.
사운더 관측특정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포착하여 연직 구조 또는 정밀한 오존 등의 가스를 관측한다. 극궤도 위성의 대부분은 특정 파장대의 전파를 발사하고,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분석하여 수증기, 바람, 오존 등의 분포를 관측한다.
우주 환경 감시 시스템정지궤도상에서 태양으로부터 도달하는 X선이나 고/저에너지 대전입자, 자력, 양성자, 태양을 직접 촬영하여 지구상의 전리층교란이나 위성 운용 경보, 우주선 외 활동 등에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5. 국제 협력

1961년 유엔 총회에서 케네디 대통령의 연설을 계기로 세계기상기구(WMO)에서 세계기상감시(World Weather Watch) 프로그램이 수립되었다.[23] 이는 기상 위성을 통해 전 지구적 규모의 기상 감시를 가능하게 했으며, 수치 예보와 함께 객관적인 기상 예보의 길을 열었다. 그러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각국의 관측 결과 공유 체계가 필요했다.

세계기상기구(WMO)와 국제과학연합회의(ICSU)는 공동으로 지구대기개발계획(Global Atmospheric Research Program: GARP)을 수행하였다. 일본의 기상위성 시리즈인 히마와리는 이 계획의 일환으로 개발되었으며, 획득한 기상 정보를 일본 국내뿐만 아니라 동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여러 국가에 제공하고 있다.[21]

5. 1. 세계기상감시계획 (WWW)

1961년 유엔 총회에서 케네디 대통령의 연설을 계기로 세계기상기구(WMO)에서 세계기상감시(World Weather Watch) 프로그램이 수립되었다.[23] 이는 기상 위성을 통해 전 지구적 규모의 기상 감시를 가능하게 했고, 수치 예보와 함께 객관적인 기상 예보의 길을 열었으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각국의 관측 결과 공유 체계가 필요했다.

5. 2. 지구대기개발계획 (GARP)

세계기상기구(WMO)와 국제과학연합회의(ICSU)가 공동으로 지구대기개발계획(Global Atmospheric Research Program: GARP)을 수행하였다. 일본의 기상위성 시리즈인 히마와리는 이 계획의 일환으로 개발되었으며, 획득한 기상 정보를 일본 국내뿐만 아니라 동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여러 국가에 제공하고 있다.[21] 이 프로그램에 참가한 위성은 다음과 같다.

위성 명칭운영국정지 위치관측 지역비고
GOES-EAST 미국서경 75도서대서양·북남미2010년 4월부터 GOES-13으로 운영 중
GOES-WEST서경 135도동태평양·북미 서부2011년 12월부터 GOES-15로 운영 중
히마와리 일본동경 140.7도서태평양·동아시아2022년 12월 13일 14시부터 히마와리 9호(Himawari-9)가 운영 중
COMS(천리안) 한국동경 128.2도2018년 12월 5일부터 천리안 2A호, 2020년 2월 19일부터 천리안 2B호가 운영 중
FY-2(풍운 2호) 중국동경 105도서태평양·인도양·중동부 아시아2009년 12월부터 풍운 2호(FY-2E/F/G/H)로 운영 중
FY-4(풍운 4호)동경 104.7도2017년 9월부터 풍운 4호(FY-4A)로 운영 중
INSAT 인도동경 93.5도인도양 중·동부 아시아2003년 4월 발사 이후, INSAT-3A로 운영 중
Kalpana-1동경 74도인도양·중근동·중동부 아시아METSAT-1에서 개명
2002년 9월 발사 이후, 운영 중
METEOSATEUMETSAT동경 63도인도양·중서부 아시아2007년 4월부터 METEOSAT-7로 운영 중
GOMS 러시아동경 76도2011년 1월부터 GOMS 2호(Electro-L 1)로 운영 중
METEOSATEUMETSAT동경 0도동대서양·유럽·아프리카2013년 1월부터 METEOSAT-10으로 운영 중
(METEOSAT-9가 백업 운영 중)


참조

[1] 웹사이트 Satellites http://www.nesdis.no[...] 2008-07-04
[2] 웹사이트 NOAA Satellites, Scientists Monitor Mt. St. Helens for Possible Eruption http://www.spaceref.[...] 2008-07-04
[3] 서적 Weather From Above: America's Meteorological Satellites Smithsonian Institution
[4] 웹사이트 VANGUARD - A HISTORY, CHAPTER 12, SUCCESS - AND AFTER https://history.nasa[...] NASA
[5] 뉴스 U.S. Launches Camera Weather Satellite Associated Press and United Press International 1960-04-01
[6] 웹사이트 Defense Meteorological Satellite Program https://www.spoc.spa[...]
[7] 학술지 SIRS and the Improved Marine Weather Forecast Environmental Science Services Administration 1970-01-01
[8] 웹사이트 DSCOVR: Deep Space Climate Observatory NOAA National Environmental Satellite, Data, and Information Service (NESDIS) https://www.nesdis.n[...] 2021-08-05
[9] 웹사이트 EUMETSAT – MSG Spectrum http://www.eumetsat.[...]
[10] 웹사이트 EUMETSAT – MFG Payload https://web.archive.[...]
[11] 보고서 High-Resolution Wind Fields within the Inner Core and Eye of a Mature Tropical Cyclone from GOES 1-min Images https://journals.ame[...] 2008-07-04
[12] 웹사이트 Subject: H1) What is the Dvorak technique and how is it used? http://www.aoml.noaa[...] 2009-01-03
[13] 웹사이트 National Weather Service http://forecast.weat[...]
[14] 학술지 Latest US weather satellite highlights forecasting challenges 2018-03-02
[15] 웹사이트 GOES-17 Transition to Operations │ GOES-R Series https://www.goes-r.g[...] 2019-05-26
[16] 보고서 NOAA-DOE Precipitation Processes and Predictability Workshop U.S. Department of Energy and U.S. Department of Commerce NOAA
[17] 웹사이트 卫星运行 (Satellite Operation) https://web.archive.[...]
[18] 학술지 The Breakthrough Team https://web.archive.[...] Environmental Satellite Services Administration 1969-07-01
[19] 문서 ITU Radio Regulations, Section IV. Radio Stations and Systems – Article 1.52, definition: meteorological-satellite service / meteorological-satellite radiocommunication service
[20] 문서 ITU Radio Regulations, CHAPTER II – Frequencies, ARTICLE 5 Frequency allocations, Section IV – Table of Frequency Allocations
[21] 서적 気象学と気象予報の発達史 気象衛星の発達 https://www.maruzen-[...] 丸善出版 2018-10-01
[22] 서적 大気の科学 日本放送出版協会
[23] 서적 気象学と気象予報の発達史 世界気象監視プログラム https://www.maruzen-[...] 丸善出版 2018-10-01
[24] 웹사이트 GOES 12 Spacecraft Status Summary http://www.oso.noaa.[...]
[25] 웹사이트 GOES 13 Spacecraft Status Summary http://www.oso.noaa.[...]
[26] 웹사이트 気象衛星センター | 運用計画 https://www.data.jma[...]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